안녕하세요 쉽고 재밌고 돈벌고 레츠스탁입니다. 저번 포스팅에선 봉차트의 아주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서 다뤘는데요. 이번 포스팅에선 이평선이라고 불리는 이동평균선에 대해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.

먼저 이동평균선은 주식시장에서의 주식시장에서 기술적 분석을 할 때 쓰이는 기본 도구 중 하나로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를 산술 평균한 값인 주가이동평균을 차례로 연결해 만든 선입니다. 위에 차트보시면 핑크색(5일), 파란색(10일), 노란색(20일), 초록색(60일), 검정색(120일) 선들 보이시죠? 저 선들이 바로 이동 평균선입니다.
5일,10일(단기): 단기매매선
20일(단기): 심리선
60일(중기): 수급선
120일(장기): 경기선
그럼 위의 정의대로 이동평균선은 어떻게 계산되는지 알아봅시다.
A주의 주가가 아래와 같이 움직였다고 예를 들면,
1월1일 | 1월2일 | 1월3일 | 1월4일 | 1월5일 | |
주가 | 900원 | 1050원 | 960원 | 1140원 | 1200원 |
3일이동평균 | 970원 | 1050원 | 1100원 |
위의 표처럼, 1월 3일의 3일 이동평균은 (900월+1050월+960원)/3=970원이 되는 거죠! 이런 이동평균선을 통해서 차트를 분석해 미래의 주가를 예측해볼 수 있는데요.

정배열은 이동평균선이 5일-10일-20일-60일-120일 순서로 배열 되어있는 경우를 말하고,
역배열은 이동평균선이 120일-60일-20일-10일-5일 순서로 배열 되어있는 경우를 말합니다.
정배열은 주가가 지속적인 상승함을 의미하고 역배열은 주가가 장기간 하락하는 시기임을 의미하는데요~ 그러면 정배열, 역배열 중 무엇을 선택해야 수익성이 더 좋을까요?
보통은 상승 추세인 정배열 종목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추세를 이어 나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수익을 낼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. 하지만, 이미 상승한 종목은 고점일 확률도 있고 상승세 후에 하락세로 갈 가능성도 배제하지 말아야합니다. 역배열인 경우에도 하락 추세라고 무조건 그 종목을 피해야만 하는 건 아닙니다. 주가는 내려가면 오르고 올라가면 내려가듯이 순환이 반복되기 때문에 하락 추세인 종목도 상장폐지가 되지 않는 이상 다시 올라갈 수 있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해답은 없으며, 정배열과 역배열은 하나의 지표로만 참고하시고 충분한 분석과 여러 방면의 평가를 통해 매수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